사주에 토가 많은데 운에서도 토 기운이 온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번에는 이에 대하여 알아볼까 합니다.
사주 오행 중 목화토금수는 사주팔자를 구성하는 우주의 기운을 말합니다.
만약, 내 사주에 토가 많다면 이는 없는 것보다 못한 과유불급이 되어버립니다. 토다자는 사주에서 3개 이상을 말하며 1~2개가 적당합니다.
토는 오행 중 땅과 흙을 의미하며 정중앙을 말하기도 합니다.
만약 내 사주에 토가 없다면, 한 곳에 뿌리박지 못하고 정처 없이 떠돌이로 다닐 수 있다고 합니다만, 이 같은 경우는 예외적인 경우를 말하며, 지장간 속까지 봐야 하는 것이 사주입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편파적인 얘기보다는 사주가 오행 중 토 기운으로만 쏠려있을 경우 어떤지에 대하여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사주오행 중 토는 가장 많다고 할 수 있습니다. 천간의 갑목, 을목, 지지의 인목, 묘목의 목이 4개, 천간의 병화, 정화, 지지 사화, 오화인 화가 4개, 천간의 경금, 신금, 지지의 신금, 유금인 금이 4개, 천간의 임수, 계수, 지지의 해수, 자수인 수가 4개인데 비해, 토는 천간의 무, 기토와, 지지의 진, 술, 축, 미토의 6개로 다른 오행에 비하여 2개가 더 많습니다.
천간의 무토와. 기토를 비롯하여 지지의 진토, 미토, 술토, 축토는 계절과 계절, 오행과 오행을 이어주는 중재자나 조정자 역할을 하여, 토의 속성을 표현하여 주기도 합니다.
천간의 무토가 양의 토라면, 천간의 기토는 음의 토로 같은 토이긴 하지만 무토가 넓고 광활하고 거대한 토라면, 기토는 논과 밭을 의미하는 무토보다는 작은 토를 말합니다.
지지의 토는 진토와 술토가 양의 성질을 갖는 토라면, 축토와 미토는 음의 성질을 갖습니다. 진토와 축토가 습하고 축축한 물기가 있는 토라면, 술토와 미토는 건조하고 마른, 물기가 아예 없는 토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진토가 봄의 끝에서 인묘진으로 미토가 여름의 끝에서 사오미로 술토가 가을의 끝에서 신유술로, 축토가 겨울의 끝에서 해자축으로 계절과 계절을 오행과 오행을 이어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토가 내 사주에 한 두 개가 있어 토의 속성을 제대로 발현시킨다면, 문제가 없지만 위 사주 그림과 같이 사주에 3개 이상 있어 고집이 세고, 자기주장도 강하고, 자제력도 없는 성격으로 바뀐다면 이는 토의 속성이 없는 것과 같은 과유불급이 됨을 의미합니다.
이렇듯 사주 오행은 한쪽으로 치우쳐도 문제, 없어도 문제입니다.
내 사주에 토가 많은데 토가 대운과 세운에서 계속 들어오고 있다면 늘 조심하면서 지내야 합니다. 토가 그득한 내 사주에 운도 토 운이 온다면 나의 건강도, 나의 운도 온전히 좋을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때의 개운법은 나의 발전을 위한 공부와 운동으로 개운하는 것이 최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