겁재1 사주의 육친이란 사주역학에서의 육친이란? 사주를 해석하는 기본도구라고 합니다. 육친을 해석하려면 나의 일간을 기준으로 나머지 글자들과의 상생과 상극을 따져서 해석해야 합니다. 그러나 역학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이 이 육친론이기에, 저도 깊이 있는 공부가 더욱 필요한 부분입니다. 그래서 이 시간에는 육친의 이해를 위한 간단한 설명만 해보려 합니다. 1. 비겁 -비겁에는 비견과 겁재가 있습니다. 비견과 겁재는 나와 같은 오행들을 말합니다. 나의 일간이 만약, 정화(丁火) 불이라면 천간의 병화(丙火)는 겁재가 되고, 지지의 오화(午 火 )는 비견, 사화(巳 火 )는 겁재가 됩니다. 비견은 저의 일간인 정화의 예를 들면, 정화와 오행이 같고, 음양이 같은 간지입니다. 같은 불기운으로 오행이 같으니 나와 같은 방향으로 나아갑니다... 2024. 1. 19. 이전 1 다음 728x90